네트워크 연결

Illumina의 시퀀싱 시스템은 시퀀싱 중 일정한 속도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은 오프로딩 속도에 따라 시퀀싱이 완료된 후에도 얼마간 진행될 수 있습니다. Illumina의 시퀀싱 기기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네트워크 연결 중단은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운영이 중단되면 모든 데이터를 로컬에 캐싱(caching)하도록 기기가 설계되어 있습니다. 단, 기기의 스토리지에 따라 캐싱으로 인해 다음 시퀀싱 런의 시작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가 복구되면 데이터 전송이 재개되도록 기기가 설계되어 있습니다.

MiSeq i100 Plus 시스템의 잠재적인 호환성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 유지 관리 활동을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 형식별 데이터 저장 요구 사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Illumina Instrument Control Computer Security and Networking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설치 및 구성 작업 시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기와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간 전용 연결을 지원해야 합니다. 기기와 함께 제공된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해 직접 연결하거나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연결하도록 합니다.
데이터 전송 시간을 유지하려면 초당 1기가비트(gigabit per second, Gbps) 인트라넷 연결(기기와 네트워크 스토리지 및 경계 방화벽 간)이 필요합니다. 느린 연결 속도는 기기 가용성을 저하시키고 데이터 전송 시간을 증가시키며 시퀀싱 런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연결은 선택 사항입니다.
관리형 스위치(Managed switch)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각 네트워크 스위치에서 워크로드의 총 용량을 계산하도록 합니다. 연결된 기기와 보조 장치(예: 프린터)의 개수가 수용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퀀싱 트래픽은 가능하면 다른 네트워크 트래픽으로부터 격리하도록 합니다.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3 m 길이의 비차폐(unshielded) 네트워크 케이블이 기기와 함께 제공됩니다. 케이블의 길이가 50 m를 넘는 경우 CAT-6A 케이블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85~90%의 네트워크 효율을 기준으로, 기기 연결 시 다음과 같은 기기별 권장 네트워크 대역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차 분석 파일에는 RTA 및 BCL 시퀀싱 결과 파일이 포함됩니다. 2차 분석 파일에는 기기 내 DRAGEN 분석 결과 파일이 포함됩니다.

데이터 로컬 저장: 1차 분석에는 초당 800메가비트(800 Mbps), 1차 및 2차 분석에는 초당 1기가비트(1 Gbps)의 네트워크 대역폭 유지
1차 분석 데이터의 클라우드 업로드: 800 Mbps 네트워크 대역폭
런 모니터링 또는 Illumina Proactive Support 전용: 15 Mbps 네트워크 대역폭

MiSeq i100 Plus는 기기와 네트워크 스토리지 간에 1 Gbps가 넘는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합니다. 1 Gbps 미만의 연결을 사용하면 복사 시간이 길어지거나 다음 시퀀싱 런의 시작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아웃바운드 연결

연결

목적

포트

53

고객 DNS 서버를 통한 도메인 이름 변환(domain name resolution)

포트

80

BaseSpace Sequence Hub 또는 Illumina Proactive의 구성

포트

443

Off-instrument 버전의 Control Software UI 또는 UCS

포트

8080

BaseSpace Sequence Hub 또는 Illumina Proactive의 구성

인바운드 연결

인바운드 포트는 기본적으로 닫혀 있습니다. 필요시 인바운드 포트는 MiSeq i100 Plus Control Software에서 열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Firewall settings 섹션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

목적

포트

80

Off-instrument 버전의 Control Software(인증서)

포트

443

Off-instrument 버전의 Control Software(UI)